거름성분의 대부분은 흙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이들 성분은 암석(돌)의 구성요소로 흙이 되는 과정에서 서서히 녹아 흙 속에 재어 있다가 작물에 영양소(營養素)가 되는 것이다.
이같이 흙에서 출발한 성분(원소)은 수십 여종에 이르지만 작물의 성장, 생리 기능상 필수성분은 이중 16종으로 밝혀져 있다. 그러나 흙에서 공급되는 이들 양분 만으로는 수량성이 높게 개량된 품종을 키우기에는 역부족으로 각종 필수원소를 함유한 거름을 주게 되는 것이다.
작물이 비교적 많은 양으로 흡수하는 성분을 다량원소라고 하여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인(P), 칼리(K), 유황(S), 석회(Ca), 고토(Mg) 등이 이에 속하고 적은 양으로 흡수되는 원소를 미량원소라 하여 철(Fe), 망간(Mn), 구리(Cu), 아연(Zn), 붕소(B), 몰리브텐(Mo), 염소(Cl) 등이 알려져 있다. 탄소, 수소, 산소 질소, 유황은 작물(유기물)의 주요구성 원소로서 유기질 거름을 시용하는 것은 이들 주요양분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특히 탄소는 대기중 산소와 결합된 탄산가스(CO2) 형태로 산소와 함께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 동화 작용으로 탄수화물을 합성 귀중한 식량을 생산한다.
산소와 수소는 물(H2O)의 형태로 작물에 흡수 되는데 이때 각종 거름성분이 물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작물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물은 거의 공짜로 사용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비용이 큰 성분이 될 공산이 크다. 질소는 산화(밭) 상태에서는 질산태(NO3)로 환원(논) 상태에서는 암모니아태(NH4)로 흡수되는데 질소는 작물체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이용되고 질산태로 남아있는 식품을 섭취하면 인체에 유해하다. 유황은 단백질의 구성 분으로 대기 중에서는 아황산가스(SO2)로 흙에서는 황산염(SO4) 형태로 흡수된다.
다량으로 흡수되는 인과 규소 그리고 미량원소인 붕소는 음이온 형태(H4PO4, HPO4, PO4, H4SiO4, B(OH)4)로 작물에 흡수된다. 다량원소인 칼리, 석회, 마그네슘과 미량원소인 망간, 염소 등은 이온상태(K, Ca, Mg, Mn, Cl)로 흡수되어 세포내에서 삼투 포텐셜의 조정과 이온간의 균형유지, 효소의 구성분으로 생화학 반응에 관여한다.
철, 구리, 아연, 몰리브텐성분은 주로 킬레이트 화합물 형태로 흡수되고 각종생리 합성 반응에 관여한다. 이 밖에 작물이 필요로하는 성분으로는 규소(Si)가 있어 규산질 거름으로 수도작에 시비되고 있다. 소디움(Na)은 칼리와 같은 금속이온으로 칼리성분이 부족할 경우 대체 역할을 하여 바닷물을 뿌려줘 효과를 보는 사례가 있으나 이는 시비 원리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 밖에 동물의 필수원소인 코발트(Co)는 소량으로 생장 호르몬 작용과 산화적 대사과정을 촉진시킨다.
기타 알미늄(Al), 니켈(Ni), 셀레니움(Se), 카드뮴(Cd), 수은(Hg) 등 원소는 작물생육에 유해하여 일부 중금속 원소에 대해서는 거름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는 최대량을 규제하고 있다. 작물이 자라는 동안 필수원소는 물론 불필요한 성분 및 온갖 중금속 원소를 모두 흡수하게 되므로 좋은 거름을 골라 시비하는 것만이 흙 보전과 안전 농산물 생산에 첫걸음이다.
|
'영농조합 자료실 > 영농조합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농업자료 - 흙의 구성 (0) | 2012.02.08 |
---|---|
친환경농업자료 - 토양생물학 입문 (0) | 2012.02.08 |
친환경농업자료 - 토양비료관리 (0) | 2012.02.08 |
친환경농업자료 - 토양관리와 토양의 건강 (0) | 2012.02.08 |
친환경농업자료 - 인산화학비료에 대해서 (0) | 2012.02.08 |